Markets

메이크업 시장의 가격대별 성과 분석: 2025년 23주차 올리브영 데이터

B

뷰틱스랩 분석팀

2025년 6월 12일

메이크업 시장의 가격대별 성과 분석: 2025년 23주차 올리브영 데이터

가격대별 시장 현황 개요

2025년 6월 첫째 주 올리브영 메이크업 시장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만원 미만 제품 356개가 전체 메이크업 리뷰의 44%(250만 개)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참고
이번 분석은 뷰틱스랩에서 수집한 2025년 23주차 올리브영 메이크업 카테고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더 상세한 데이터와 실시간 분석은 뷰틱스랩 메이크업 대시보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가격대별 시장 분포 현황

2025년 23주차 올리브영 메이크업 가격대별 시장 현황

전체 시장 규모와 가격대별 분포

2025년 23주차 올리브영 메이크업 카테고리의 가격대별 현황:

가격대제품 수브랜드 수총 리뷰 수리뷰 점유율
1만원 미만356개88개2,502,615개43.9%
1-2만원623개145개2,272,108개39.8%
2-3만원250개90개708,679개12.4%
3만원 이상167개43개218,755개3.8%

데이터 분석 결과, 1만원 미만 제품은 전체 제품 수의 25.5%를 차지하면서도 전체 리뷰의 43.9%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저가 제품의 리뷰 집중도가 높음을 보여줍니다.

💸 저가 브랜드 현황 분석

1만원 미만 브랜드 TOP 3

1만원 미만 메이크업 브랜드 TOP 10

순위브랜드제품 수총 리뷰 수평균 가격제품당 평균 리뷰
1롬앤35개597,409개11,791원17,069개
2페리페라27개429,395개9,441원15,904개
3컬러그램26개215,469개9,412원8,287개

저가 브랜드 중 롬앤페리페라가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두 브랜드의 리뷰 수 합계는 100만 개를 넘었습니다. 롬앤은 평균 가격 11,791원으로 1만원을 약간 상회하지만, 제품당 평균 17,069개의 리뷰를 기록했습니다.

주요 인기 제품 현황

제품명브랜드리뷰 수가격
롬앤 더 쥬시 래스팅 틴트롬앤183,497개9,900원
클리오 샤프 쏘 심플 워터프루프 펜슬라이너클리오110,813개7,700원
홀리카홀리카 마이페이브 피스 아이섀도우홀리카홀리카97,265개4,800원

💎 고가 브랜드 시장 현황

3만원 이상 브랜드 TOP 3

3만원 이상 메이크업 브랜드 TOP 10

순위브랜드제품 수총 리뷰 수평균 가격
1에스쁘아6개38,514개32,900원
2정샘물8개36,002개38,938원
3헤라18개28,527개46,750원

3만원 이상 시장에서는 에스쁘아가 38,514개의 리뷰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1만원 미만 1위인 롬앤(597,409개)과 비교하면 6.4% 수준에 해당합니다.

📈 카테고리별 가격대 분석

카테고리별 가격 분포 비교

카테고리별 가격 양극화 분석

카테고리1만원 미만 비중3만원 이상 비중주요 특징
립메이크업제품: 36.3%
리뷰: 58.0%
제품: 8.0%
리뷰: 1.5%
저가 제품 압도적 우위
아이메이크업제품: 31.3%
리뷰: 47.8%
제품: 9.5%
리뷰: 0.6%
중저가 중심 시장
베이스메이크업제품: 10.3%
리뷰: 18.3%
제품: 17.9%
리뷰: 11.9%
고가 제품 상대적 강세

립메이크업은 1만원 미만 제품이 전체 리뷰의 58%를 차지했고, 베이스메이크업은 각 가격대별로 고른 분포를 보였습니다.

🌍 관련 시장 트렌드

글로벌 가격 양극화 현상

Business of Fashion의 2025년 뷰티 트렌드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소비자들이 기본 제품은 저가로, 특별한 제품은 고가로 구매하는 "선택적 소비"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Harper's Bazaar는 "드럭스토어 뷰티 르네상스"를 2025년 주요 트렌드로 선정했으며, 10달러 이하 제품의 품질 향상을 보도했습니다.

한국 시장의 특징

장업신문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 색조화장품 시장에서 '립스틱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저가 색조 제품과 신생 브랜드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성장하고 있습니다.

리퀴드 소비 시대의 도래

삼정KPMG의 '리퀴드 소비' 리포트에 따르면, PB·저가 채널 매출이 전년 대비 11.8% 증가했으며, 이는 가격민감 성향 강화가 핵심 동인입니다. 특히 MZ세대는 '효능 대비 가격(Price-Benefit Hybridity)'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온라인 뷰티앱을 통한 성분·후기 스캔 비중이 36%에 달합니다.

🔬 기술 혁신이 가능하게 한 가격 파괴

저가 고품질의 비밀: ODM 특허 기술

1만원 미만 제품의 품질 혁신은 ODM 기업들의 기술 특허가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기술명특허 보유사핵심 효과원가 절감률
PIT 저온 유화 기술코스맥스35℃ 이하 상전이 유화공정 시간 -30%
크림-투-파우더 반고형 색조한국콜마블러·보송 피니시 구현분체 사용량 -15%
나노 무고압 에멀전코스맥스200nm 이하 입자 분산설비 비용 절감
참고
롬앤과 페리페라는 ODM 파트너사의 기술을 활용해 9,900~13,000원대 립틴트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브랜드는 컬러와 패키지로 차별화하고, 제형은 ODM 기술을 활용합니다.

텍스처 기술 특허

주요 텍스처 구현 기술:

  • 블러 효과: 실리콘+카르나우바 코팅 파우더로 발림은 크림, 마무리는 보송한 효과 (한국콜마 특허 10-1064504)
  • 벨벳 텍스처: 미세 텍스처 코팅층이 입체 산란을 일으켜 벨벳-소프트 포화광 구현 (EP1829935A1)
  • 무스 제형: 무수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구조제로 자가발포 거품과 가벼운 질감 실현 (WO2005117813A1)
  • 장지속 기술: 셀룰로오스 고분자와 고형 지질 입자 복합으로 8시간 이상 발색 유지 (KR20210077313A)

📊 주요 시사점

1️⃣ 가격 대 품질 균형

1만원 미만 제품의 성공은 가격뿐만 아니라 품질을 함께 고려한 결과입니다. 롬앤의 쥬시 래스팅 틴트(183,497개 리뷰)는 이러한 균형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2️⃣ 카테고리별 차별화된 가격 전략 필요

립메이크업은 저가 중심, 베이스메이크업은 중고가 제품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데이터는 브랜드들에게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3️⃣ 브랜드 충성도의 변화

88개의 1만원 미만 브랜드 vs 43개의 3만원 이상 브랜드라는 숫자는 저가 시장의 치열한 경쟁과 고가 시장의 진입 장벽을 동시에 보여줍니다.

4️⃣ "매스티지" 포지셔닝의 어려움

2-3만원대 제품들이 전체 리뷰의 12.4%만 차지한다는 사실은 중간 가격대 포지셔닝의 어려움을 시사합니다.

5️⃣ 온라인 채널이 만든 가격 투명성

올리브영이라는 단일 채널에서도 이런 극명한 가격 양극화가 나타난다는 것은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음을 의미합니다.

🧠 소비자 행동 분석

가격과 품질의 상관관계

KCI 연구에 따르면, 심미성과 기능성이 상충할 때 고심미성/저기능성 제품의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저가 제품에서도 패키지와 컬러가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경제 상황과 브랜드 선택

업계 자료에 따르면,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소비자들은 가격 대비 가치를 중시하며 선택적 소비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카테고리별 가격 특성

코스인코리아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 베이스메이크업: 쿠션 파운데이션 사용률이 64.3%로 가장 높아, 사용 편의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임
  • 립메이크업: 가격 경쟁이 치열하여 프로모션 도입이 일상화된 상황

카테고리별 특성에 따라 립메이크업은 프로모션 전략이, 베이스메이크업은 리필·용량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브랜드 전략 제언

저가 브랜드를 위한 제언

  1. 품질 경쟁력 확보: 가격과 품질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콜라보레이션 활용: 한정판이나 특별 기획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3. 카테고리별 차별화: 립과 베이스의 가격 전략을 다르게 가져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고가 브랜드를 위한 제언

  1. 구체적 가치 제안: 프리미엄 제품의 차별화 포인트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2. 디지털 콘텐츠 강화: 온라인에서 고가 제품의 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콘텐츠가 필요합니다.
  3. 엔트리 제품 개발: 브랜드를 경험할 수 있는 접근성 높은 제품 라인이 필요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 1만원 미만 제품의 인기 요인은?

A. 가격 경쟁력과 함께 K-뷰티 브랜드의 품질 향상이 주요 요인입니다. MZ세대의 가치 소비 트렌드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Q. 고가 메이크업 브랜드의 경쟁력은?

A. 베이스메이크업 같은 기능성 중심 카테고리에서는 고가 브랜드도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별화된 가치 제안이 중요합니다.

Q. 중간 가격대(2-3만원) 제품의 전략은?

A. 중간 가격대 제품도 명확한 타깃과 가치 제안이 있다면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참고
본 분석은 2025년 23주차 올리브영 판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전체 한국 화장품 시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데이터는 뷰틱스랩 대시보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올리브영#메이크업#가격양극화#K뷰티#시장분석#롬앤#페리페라#데이터분석#가성비